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DS-B의 개념과 작동 원리 및 송신 방식 장점 과 한계점

by danawa 2025. 4. 9.

현대 항공운항의 핵심은 정확한 위치 감시와 교통 흐름의 최적화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대표적인 차세대 감시 시스템이 바로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입니다. 기존 레이더 기반의 감시방식보다 더 정밀하고 실시간성이 높은 ADS-B는, 현재 전 세계 항공교통관제의 표준 감시 시스템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ADS-B의 개념과 작동 원리 그림
(ADS-B의 개념과 작동 원리)

ADS-B의 개념과 작동 원리

  • Automatic: 자동적으로
  • Dependent: GPS에 의존하여
  • Surveillance: 감시 정보를 수집하고
  • Broadcast: 이를 방송하는 시스템

작동 원리: 항공기 → GPS 위치 수신 → ADS-B 송신 → 주변 수신 (ATC, 항공기 등) → 실시간 감시 가능

구성 요소 및 송신 방식: ADS-B Out vs ADS-B In

  • ADS-B Out: 항공기가 자신의 정보를 송신
  • ADS-B In: 타 항공기 및 지상국 정보를 수신

주파수: 1090ES (국제선), 978 UAT (미국 GA)

방식 기능 설명
ADS-B Out 송신 필수 설치 (국제 기준)
ADS-B In 수신 선택 사항, 정보 수신 기능

ADS-B의 장점과 한계점

장점

  • 정확성: GPS 기반 ±15m
  • 실시간: 1초 단위 갱신
  • 범용성: 레이더 사각지역에서도 가능
  • 경제성: 유지비 저렴
  • 교통분리 용이
  • 충돌 방지에 기여

한계

  • GPS 의존 → 오류 시 치명적
  • 개인정보 노출 가능성
  • 전파 장애 시 감시 불가
  • 장비 설치 비용 부담 (특히 소형기)

결론

ADS-B는 항공감시의 미래 표준 시스템으로, 레이더에 의존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실시간,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모두 갖춘 최첨단 감시 기술입니다. 조종사와 관제사 모두 ADS-B 데이터를 활용해 비행 효율성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GA와 무인기(UAV)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지금 ADS-B 장비와 주파수 체계, Out/In 방식, 실제 사용 시나리오를 체계적으로 익히고, 최신 차세대 항행 시스템에 대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