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GNSS의 개요 및 SBAS, GBAS, GRAS의 차이와 작동 방식 및 활용 이점

by danawa 2025. 4. 11.

현대 항공운항의 핵심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항법 기술에 있으며, 그 중심에는 위성항법시설(GNSS 기반 시스템)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GNSS, SBAS, GBAS, GRAS로 구성된 위성항법시설의 개념, 구성, 작동 원리, 실무 활용 사례를 통합적으로 정리합니다.

GNSS의 개요 그림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개요

시스템 국가/연합 특징
GPS 미국 가장 널리 사용
GLONASS 러시아 군사 중심
Galileo EU 민간 고정밀
BeiDou 중국 지역 → 글로벌
QZSS 일본 아시아 보완 GNSS
KPS 대한민국 예정 시스템 (2035년)

SBAS, GBAS, GRAS의 차이와 작동 방식

SBAS

  • 위성 기반 광역 보정 시스템
  • GNSS 신호 오류 보정 → GEO 위성으로 재전송

예: WAAS(미), EGNOS(유럽), KASS(한국)

GBAS

  • 공항 단위 보정
  • 지상 GNSS 수신기 → VHF 송신으로 항공기 유도

적용: CAT I~III 정밀착륙, ILS 대체 가능

GRAS

  • 위성 없이 지상망 기반 광역 보정
  • 호주, 캐나다 등에서 사용
항목 SBAS GBAS GRAS
보정 범위 광역 (수천 km) 공항 주변 지역 단위
보정 방식 위성 중계 VHF 송신 지상 네트워크
주요 용도 LPV 접근 CAT III 착륙 광역 항법 지원

항공 실무에서의 활용과 이점

  • 정밀접근: LPV, LNAV/VNAV 접근 (ILS 대체)
  • 항로 최적화: RNAV/RNP 활용
  • 무인기(UAM): 고정밀 GNSS 보정 필수
  • 인프라 절감: GBAS로 ILS 대체

대한민국 사례: KASS 기반 LPV 절차가 김포·제주·무안 등에서 운영 중이며 확대 예정

결론

GNSS/SBAS/GRAS/GBAS는 항공 내비게이션의 핵심 인프라로, 기존 지상 항법을 대체하며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조종사 및 항공 실무자는 각 시스템의 구조, 보정 방식, 적용 절차를 이해하고 GNSS 기반 차세대 항법 환경에 대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