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LS 시스템의 구성 및 접근 단계별 설명 실무 활용과 안전성

by danawa 2025. 4. 20.

항공기 착륙 시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정밀한 접근 방식은 ILS(Instrument Landing System)를 이용한 계기착륙입니다. ILS는 활주로에 설치된 지상 유도 장비와 항공기의 계기를 연동해 수평 및 수직 유도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조종사가 시야 확보 없이도 안전하게 활주로에 접근하고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그림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ILS 시스템의 기본 구성과 역할

ILS는 항공기의 정밀계기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유도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

  • Localizer: 활주로 중심선 좌우 위치를 제공, 수평 유도 담당
  • Glideslope: 활주로로 하강하는 일정 각도(보통 3도)를 제공, 수직 유도 담당
  • Marker Beacon: 특정 위치에서 위치 알림 제공
  • Approach Lighting System: 시야 확보가 어려운 환경에서 시각적 보조 제공

ILS 접근 일반절차 단계별 설명

1. 초기 접근 (Initial Approach)

조종사는 관제 지시로 IAF로 진입하며, STAR 경로를 따라 접근합니다. ILS 주파수를 설정하고, 로컬라이저 수신 및 식별코드를 확인합니다.

2. 중간 접근 (Intermediate Approach)

로컬라이저 신호에 정렬한 후, 글라이드슬로프에 진입하기 위해 준비합니다. FAF를 통과하면서 기어와 플랩을 전개하고 착륙 구성을 마칩니다.

3. 최종 접근 (Final Approach)

글라이드슬로프에 진입하여 하강을 시작합니다. DA 또는 MDA에서 활주로 시각 확보가 되지 않으면 복행 절차를 시행합니다. 시야 확보 시 착륙을 계속 진행합니다.

ILS 접근의 실무 활용과 안전성

ILS는 대부분의 대형 공항에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등급으로 정밀도가 나뉩니다:

  • CAT I: DA 200ft / 시정 800m 이상
  • CAT II: DA 100ft / 시정 350m 이상
  • CAT III: 자동 착륙 가능, 시야 확보 불필요

현대 항공기는 ILS를 자동조종장치와 연동하여 Autoland까지 가능하며, 조종사는 각 단계에서 고도, 속도, 정렬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ILS 접근 절차는 항공기의 정밀 착륙을 위한 표준화된 방법으로, 조종사와 관제사 간 협업을 통해 안전하게 실행됩니다. 로컬라이저와 글라이드슬로프를 기반으로 한 수직·수평 유도 시스템은 저시정 조건에서도 항공기가 활주로를 정확히 찾을 수 있도록 보조합니다. 항공 분야에 진입하고자 하는 학생 및 종사자라면, ILS 접근의 절차와 구성 원리를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