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는 날씨와 지형, 시간대에 관계없이 정확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운항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인데, 이 GNSS 신호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높여주는 보정 시스템이 바로 SBAS(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입니다.
SBAS의 개념과 작동 원리
- GNSS 모니터링 지상국 → 신호 오차 측정
- 중앙 처리국 → 보정값 계산
- 정지궤도 위성(GEO)을 통해 보정 데이터 송신
- 사용자(GNSS 수신 항공기 등) → 보정 신호 수신 후 위치 보정
오차 보정 항목: 위성 궤도, 시계, 전리층 지연, 다중 경로 등
주요 SBAS 시스템
명칭 | 지역 | 운영 기관 | 위성 |
---|---|---|---|
WAAS | 북미 | FAA | GPS + GEO |
EGNOS | 유럽 | EASA | GPS + 유럽 위성 |
MSAS | 일본 | JAXA | MTSAT |
GAGAN | 인도 | ISRO + AAI | GSAT |
KASS | 대한민국 | 국토부 + KARI | 정지궤도 위성 |
항공 실무에서 SBAS의 활용
활용 분야 | 설명 |
---|---|
LPV 접근 | ILS 수준의 정밀 착륙 절차 |
ILS 대체 | 지상 장비 없이도 정밀 접근 가능 |
무인기 운용 | 고정밀 경로 설정과 비행 가능 |
지역 항법 | 좁은 분리 기준으로 트래픽 증가 대응 |
정확도 비교
시스템 | 수평 오차 | 수직 오차 |
---|---|---|
일반 GPS | ±10~15m | ±15~30m |
SBAS 보정 GPS | ±1~3m | ±1~3m |
결론
SBAS는 위성 기반 항법 시스템의 신뢰성을 극대화하여, 항공 안전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핵심 기술입니다. 대한민국의 KASS를 포함한 글로벌 SBAS 시스템은 향후 모든 항공기의 정밀접근과 무인기 운항의 표준 인프라가 될 전망입니다. 지금 SBAS의 원리와 구성, 지역별 시스템, 항공 접근 절차에서의 적용 방식을 익히고, 정확한 항공 내비게이션 지식을 갖춘 조종사 또는 관제사로 성장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