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1 비행 준비 절차 민간기 vs 군용기 점검 방식 항공기의 안전 운항을 위한 점검은 비행 전후 반드시 수행되는 필수 절차입니다. 하지만 민간 항공기와 군용 항공기는 운영 목적, 기종, 운용 환경 등이 다르기 때문에 점검 방식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민간기와 군용기의 점검 체계, 투입 인력, 절차적 차이점을 비교하여 항공점검 시스템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항공에 관심 있는 일반인부터 항공 정비직 준비생까지 실무에 도움되는 내용으로 구성했습니다.점검 체계: 민간의 표준화 vs 군의 특수성민간기와 군용기의 가장 큰 차이는 점검 체계의 기반입니다. 민간 항공기의 경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항공운송사업법, 항공안전법 등 국제 표준과 국내 법률에 의거한 일관된 점검 체계를 따릅니다. 각 항공사는 항공기 기종별로 MEL(Mini.. 2025. 4. 21. 비행 전 외부,내부 점검 절차 및 SOP 기반 지상점검 항공기의 비행 안전은 철저한 준비에서 비롯됩니다. 그중에서도 조종사와 정비 인력이 수행하는 Pre-flight 점검은 비행의 시작을 알리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글에서는 항공기의 외부 점검과 내부 점검 절차를 중심으로, 비행 전 수행되는 항공기 확인 작업을 단계별로 완전 분석해 보겠습니다. 조종사, 항공정비사, 항공과 학생 등 누구나 실무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외부 점검 절차: 기체 전반 상태 확인항공기 외부 점검(Exterior Inspection)은 항공기의 외형과 구조물, 연료, 타이어, 제어 장치 등 기체 전반의 물리적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일반적으로 조종사 또는 정비사가 수행하며, 이 단계에서 이상이 발견될 경우 비행은 즉시 보류됩니다. 외부 점검은 통상적으로 .. 2025. 4. 21. 조종사의 비행 준비 및 브리핑 구성 과 기상 요소 반영 조종사의 비행 준비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는 브리핑입니다. 특히 국내 항공사에 소속된 한국 조종사들은 국내 항공 환경에 최적화된 절차와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브리핑을 수행합니다. 본 글에서는 한국 조종사의 브리핑 절차를 중심으로, 국내 항공 운항의 특성과 더불어 기상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는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국내항공을 위한 브리핑 구성한국에서 운항되는 대부분의 국내선은 비교적 짧은 비행시간과 빈번한 스케줄, 그리고 다양한 지형적 환경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조종사들은 비행 전 브리핑에서 특정한 항목에 더 집중하게 됩니다. 가장 먼저 다루는 것은 비행 계획(Flight Plan)입니다. 이 계획은 출발지와 도착지, 항공로, 고도, 연료 계획, 대체 공항 등을 포함하며 항공사에.. 2025. 4. 20. ILS 시스템의 구성 및 접근 단계별 설명 실무 활용과 안전성 항공기 착륙 시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정밀한 접근 방식은 ILS(Instrument Landing System)를 이용한 계기착륙입니다. ILS는 활주로에 설치된 지상 유도 장비와 항공기의 계기를 연동해 수평 및 수직 유도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조종사가 시야 확보 없이도 안전하게 활주로에 접근하고 착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ILS 시스템의 기본 구성과 역할ILS는 항공기의 정밀계기접근을 가능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유도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Localizer: 활주로 중심선 좌우 위치를 제공, 수평 유도 담당Glideslope: 활주로로 하강하는 일정 각도(보통 3도)를 제공, 수직 유도 담당Marker Beacon: 특정 위치에서 위치 알림 제공Approa.. 2025. 4. 20. 정밀계기접근절차의 정의 및 시스템 유형 , 항공 안전에 미치는 영향 항공기의 착륙은 전체 운항 과정 중 가장 위험한 단계로, 특히 악천후나 시정 불량 시 조종사의 시각적 정보에 의존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밀계기접근절차(Precision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는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유도하는 핵심 절차입니다. 정밀계기접근은 지상 장비와 항공기 계기를 기반으로 정확한 수직 및 수평 안내를 제공하여, 조종사가 활주로까지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정밀계기접근의 정의와 필요성정밀계기접근절차란, 수평(방위) 및 수직(강하각)에 대한 정확한 유도 정보를 항공기에 제공하는 착륙 절차를 말합니다. 이는 비정밀접근(Non-Precision Approach)이 수평 안내만을 제공하는 것과 달리, 수직 안내까지 포함하여 조종사의 부.. 2025. 4. 20. ACARS의 개념과 구성 요소 및 통신방식 현대 항공기는 비행 중 기체 상태, 위치, 운항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지상에 전송하고 지상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모든 정보 교환을 자동화하고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핵심 시스템이 바로 ACARS (Aircraft Communications Addressing and Reporting System)입니다. ACARS는 항공기와 항공사 운항통제센터 또는 정비 부서 간의 자동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으로, 비행 중 기체 상태 보고, 운항 관리, 승객 정보, 정비 요청 등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합니다.ACARS의 개념과 필요성ACARS는 1978년 미국 아비컴(ARINC, 현재의 Collins Aerospace)에 의해 개발된 자동화 항공 통신 시스템입니다. 기존에는 조종사.. 2025. 4. 19.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