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

ASDE의 정의와 역할 및 작동 원리 및 구조 와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 항공 관제사는 하늘뿐 아니라 공항 지상에서도 항공기와 차량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특히 지상에서의 충돌 사고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지상 감시 기술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기술이 바로 ASDE(공항감시레이더, 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입니다. 본 글에서는 항공 관제사를 꿈꾸는 예비 관제사들이 반드시 이해해야 할 ASDE의 개념, 작동 원리, 실전 적용 사례를 상세히 다루겠습니다.ASDE의 정의와 역할ASDE는 ‘Airport Surface Detection Equipment’의 약자로, 공항 지상에서 항공기와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레이더 시스템입니다. 일반적인 감시 .. 2025. 4. 13.
MLAT의 정의 와 감시 원리 와 관제업무에 미치는 영향 및 지식 항공 관제사는 하늘 위 수많은 항공기의 안전한 이동을 책임지는 매우 중요한 직업입니다. 이들이 의존하는 기술 중 하나가 바로 MLAT(다변측정감시시설)입니다. MLAT는 레이더나 ADS-B처럼 항공기의 위치를 감시하는 기술로, 특히 레이더가 닿지 않는 곳이나 보조 감시 시스템으로 큰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MLAT의 기본 원리부터, 관제사 업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예비 항공 관제사가 꼭 알아야 할 이유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MLAT의 정의와 감시 원리MLAT는 ‘다변측정감시시설(Multilateration)’의 약자로, 여러 개의 지상 수신 장비를 통해 항공기가 송신하는 신호의 도달 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항공기의 위치를 계산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식은 레이더나 ADS-B와는 다르게,.. 2025. 4. 12.
ADS의 개념과 ADS-B의 활용 파일럿의 ADS-C 활용 경험 ADS(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는 오늘날 항공 교통 관제 및 안전 운항에서 핵심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실제 비행을 수행하는 파일럿 입장에서 ADS는 단순한 기술 그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일럿의 시각에서 본 ADS의 실질적인 활용 사례와 기능,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알아보겠습니다.ADS란 무엇인가?ADS는 "자동 종속 감시"라는 이름 그대로, 항공기가 자동으로 자신의 위치, 속도, 방향 등을 송신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기존의 레이더 기반 감시보다 더 정확하고 실시간성이 뛰어나며, 항공기 스스로가 의존(dependent)하여 정보를 보내기 때문에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라고 불립니다. 이 시스템은 .. 2025. 4. 12.
GNSS의 개요 및 SBAS, GBAS, GRAS의 차이와 작동 방식 및 활용 이점 현대 항공운항의 핵심은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항법 기술에 있으며, 그 중심에는 위성항법시설(GNSS 기반 시스템)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GNSS, SBAS, GBAS, GRAS로 구성된 위성항법시설의 개념, 구성, 작동 원리, 실무 활용 사례를 통합적으로 정리합니다.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개요시스템국가/연합특징GPS미국가장 널리 사용GLONASS러시아군사 중심GalileoEU민간 고정밀BeiDou중국지역 → 글로벌QZSS일본아시아 보완 GNSSKPS대한민국예정 시스템 (2035년)SBAS, GBAS, GRAS의 차이와 작동 방식SBAS위성 기반 광역 보정 시스템GNSS 신호 오류 보정 → GEO 위성으로 재전송예: WAAS(미), EGNOS(유럽).. 2025. 4. 11.
ILS 의 구조와 작동 원리 및 MLS와 TLS 적용 및 절차 예시 항공기의 착륙은 비행 중 가장 민감하고 위험한 순간 중 하나로, 정밀하고 안정적인 유도 장비가 필수입니다. 이러한 착륙을 돕는 대표적인 항법장비가 바로 ILS, MLS, TLS로 대표되는 계기착륙시설(Instrument Landing Systems)입니다. ILS (Instrument Landing System)의 구조와 작동 원리구성 장비기능로컬라이저좌우 위치 유도글라이드 슬로프수직 하강 경로 제공마커 비콘거리 경고 (외부/중간/내부)DME거리 정보 제공 (일부 공항)ILS 등급등급조건특징CAT I시정 550m / DA 200ft기본 민항 착륙CAT II시정 300m / DA 100ft고급 조종 시스템 필요CAT III시정 200m 이하자동 착륙 가능MLS와 TLS: ILS의 대안 시스템MLS (Mic.. 2025. 4. 11.
GNSS 감시시스템의 개념과 작동방식 및 글로벌 사례 위성 기반 항법(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은 현대 항공 내비게이션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술입니다. 하지만 위성 신호는 전리층, 위성 오류, 전파 간섭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감시하고 품질을 보증하는 장치가 바로 위성항법감시시설(GNSS Monitoring System)입니다.GNSS 감시시스템의 개념과 필요성GNSS 신호의 정확성, 무결성, 연속성, 가용성을 실시간 감시오류 발생 시 즉시 경보 제공 → 조종사 및 관제사 대응 가능SBAS/GBAS 기반 운항에 필수 시스템ICAO 감시 기준: Accuracy, Integrity, Continuity, Availability시스템 구성과 작동 방식구성 요소기능GNSS 수신기위성 신호 .. 2025. 4. 10.